배관 일반
▣강관의 특징
▣강관의 종류
배관용 탄소강관: SPP
압력 배관용 탄소강관: SPPS 350℃이하,10~100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 SPPH 350℃이하,100
고온 배관용 탄소강관: SPHT 350~450℃
배관용 합금강관: SPA
저온 배관용 탄소강관: SPLT (냉매배관용) <p710>
수도용 아연도금 강관: SPPW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 강관: SPW
배관용 스테인레스강 강관: STSXT
보일러 열교환기용 탄소강 강관: STH
특수강관
▣주철관의 특징
호칭지름 : 관의 내경으로 표시
▣주철관의 종류
1)수도용 원심력 금형 주철관
2)수도용 원심력 사향 주철관
종류 ①저압관 (LA)
②보통압관 (A)
③고압관 (B)
3)수도용 수직형 주철관
4)배수용 주철관
5)수도용 원심력 덕타일 주철관(=구상 흑연 주철관)
▣주철의 재질에 따라 분류
구상흑연주철관: 균열방지와 강도와 연성을 보강한 주철관
▣동관의 특징
▣동관의 종류
①인탈산동관 ②터프피치동관
③무산소동관 ④황동관
동관의 두께에 따른 분류 : 두께가 ↑ 일수록 고압에 사용
K : 의료 및 고압배관에 사용
L : 의료, 급배수, 급탕, 냉난방, 가스배관에 사용
M : 의료, 급배수, 급탕, 냉반방, 가스배관에 사용
▣스테인레스강관의 특징
▣스테인레스강 종류
배관용, 보일러 열교환기용, 일반배관용
▣연관(=납관)의 특징
▣연관의종류
수도용, 배수용, 일반공업용
▣비금속관
1.석면 시멘트관
2.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합성수지관
1.경질 염화 비닐관
2.폴리에틸렌관
▣배관이음의 종류 - 강관이음, 주철관이음, 동관접합,
염화비닐관 접합, 폴리에틸렌관 접합
석면시멘트관접합, 철근콘크리트 접합
신축이음
▣강관이음
①나사이음 ②용접이음 ③플랜지이음
▣강관용 배관공구
①파이프커터 ②쇠톱 ③파이프 바이스
④파이프 리머 ⑤파이프 렌치
⑥동력 나사절삭기- 관경이 20A 이하는 14산,
25A 이상은 11산으로 절삭
⑦파이프 벤딩 머신
▣주철관 이음
①소켓접합 ②플랜지 접합 ③미케니컬 조인트
④빅토릭 접합 ⑤타이톤 접합
▣동관접합 <p668>
①납땜접합 ②압축접합
③용접접합 ④플랜지 이음
▣동관용 배관용구
①플레어 투울 셋 ②익스펜더 ③사이징 투울
④튜브커터 ⑤리이머 ⑥튜브벤더
▣연관접합
1)플라스턴 접합
: 용융점이 낮은 플라스턴(주석 40%, 납 60%, 232℃)
을 녹여 접합하는 방식
-직선접합, 맞대기접합, 수전소켓접합, 지관접합,
맨더린접합
2)살붙이 납땜접합
▣연관용 배관공구 <p647>
①봄볼 ②드레서 ③턴핀
④벤드 벤 ⑤맬릿 ⑥토치램프
▣염화비닐관 접합
①냉간접합 - TS조인트, 고무링 이음법
②열간접합 - 슬리브 이음, 용접이음
③기계적접합 - 플랜지 접합, 테이프코어 접합,
테이퍼조인트 접합
▣폴리에틸렌관 접합
①용착슬리브 접합 ②인서트 접합 ③테이퍼접합
▣석면시멘트관(=이터닛관) 접합
①기볼트 접합: 1개의 슬리브를 2개의 고무링에 끼우고 2개의 플랜지를 설치하여 볼트로 조여서 접합하는 방식
②칼라접합 ③심플렉스 이음
▣철근콘크리트 접합
칼라접합 모르타르접합
▣신축이음 (정말 중요)
1) 온수나 증기가 관내를 통과할 때 온도변화에 따른 관의 팽창과 수축이 발생하여 기기의 파손을 초래하므로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한다.
2) 펌프 및 압축기 가동 시 유체의 급격한 압력과 유속 변화에 따른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다.
3) 동관은 20m, 강관은 30m 마다 1개소식 설치한다.
▣신축이음의 종류
①루프형 ②슬리브형 ③벨로즈형 ④스위블형
신축량의 큰 순서:
루프형 > 슬리브형 > 벨로즈형 > 스위블형
⑤볼조인트
▣밸브의 구비조건
①유체의 통과저항이 작을 것
②밸브의 개폐가 확실하고 누설이 없을 것
③마모 및 파손에 강할 것
④고온에서 변형이 없을 것
⑤관성력이 작을 것
▣밸브의 종류
1) 슬루스 밸브
2) 스톱밸브 -
①글로브밸브(유체의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유량 조절용
②앵글밸브(유체의 흐름방향과 직각으로 바꿀 때)
③니들밸브(세밀한 유량을 제어할 경우에 사용)
3) 콕크
종류- 접속방식에 따른 분류: 메인콕, 글랜드콕
유체의 흐름방향에 따른 분류: 2방콕, 3방콕, 4방콕
용도에 따른 분류: 피이콕, 핸들콕, 미터콕
4) 체크밸브
종류- 스윙식: 수직, 수평배관에 사용
리프트형: 수평배관에 사용
풋밸브: 펌프 흡입관 하부에 사용
5) 감압밸브
6) 안전밸브
▣부속장치
①스트레이너(배관 내에 유입된 이물질 제거)
: 50A 이하는 나사이음, 65A 이상은 플랜지이음
②배수트랩(하수관속에서 발생한 가스의 역류 방지)
▣배관지지
①행거- 리지드 행거, 콘스탄트 행거, 스프링 행거
②서포트- 리지드 서포트, 스프링 서포트, 롤러 서포트
파이프 슈우
③리스트레인트:
(열팽창에 의한 배관의 좌우, 상하 이동을 구속하고 제한)
- 앵커, 스토퍼, 가이드
④브레이스
▣보온재
보냉재(100℃이하) 보온재(100~800℃)
단열재(850~1200℃) 내화단열재(1300℃이상)
▣보온재의 구비조건
①열전도율이 작을 것
②비중이 작고 불연성
▣유기질보온재: 펠트, 콜크, 기포성 수지
▣무기질보온재:
저온용- 탄산마그네슘, 석면, 암명, 규조토, 유리섬유
고온용- 펄라이트, 규산칼슘, 세라믹화이버
▣패킹재
①플랜지 패킹- 고무 패킹, 네오프랜(합성고무),
석면조인트 패킹, 합성수지 패킹,
오일시링 패킹, 금속 패킹
②나사용 패킹- 페인트, 일산화연, 액상 합성수지
③그랜드패킹- 석면 강형 패킹, 석면 야안 패킹
아마존 패킹, 몰드 패킹
▣페인트(도료)
①광명단 도료 ②합성수지 도료 ③산화철 도료
④알루미늄 도료 ⑤타르 및 아스팔트
▣높이표시
1) EL(배관의 높이를 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표시한 것)
①BOP법: 관외경의 아랫면까지의 높이를 기준으로 표시
②TOP법: 관외경의 윗면까지의 높이를 기준으로 표시
2) GL(지표면을 기준으로 하여 높이를 표시한 것)
3) FL(1층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높이를 표시한 것)
▣관의 표시
①온수 및 증기의 송기관: 실선으로 표시
②온수 및 증기의 복귀관: 점선으로 표시
③급수관: 일점 쇄선으로 표시
▣유체의 종류에 따른 도시기호
공기 - A(백색) 수증기 - S(암적색)
가스 - G(황색) 물 - W(청색)
유류 - O(암황적색)
▣배관의 표시방법
2B-S115-A10-H2O
①2B: 관의 호칭지름
②S115: 유체의 종류 및 상태
③A10: 배관계의 시방(관의 종류, 두께, 압력구분)
④H2O: 관 외면에 실시하는 설비, 재료(보온, 보냉재료)
▣관의 이음방식에 따른 도시기호
▣관 끝부분 도시기호(캡, 체크포인트, 핀치오프 등)
▣계측기기의 도시기호(압력계, 온도계, 유량계 등)
▣밸브의 도시기호(글로브밸브, 슬루스밸브,
첵밸브 등)
▣난방의 종류- 온수난방, 증기난방, 복사난방
▣온수난방의 분류
1) 회로방식에 따른 분류- 개방회로, 밀폐회로
2) 제어방식에 따른 분류- 정유량방식, 변유량방식
3) 환수방식에 따른 분류- 직접환수방식, 역환수방식
①직접환수방식: 배관설비 간단, 유량제어 밸브가 필요
②역환수방식: 배관설비 복잡, 유량분배가 균등
4) 배관개수에 따른 분류- 1관식, 2관식, 3관식, 4관식
①3관식: 공급관2개, 환수관1개, 배관설비 복잡
환수관이 1개이므로 냉수와 온수의
혼합 열손실이 발생
②4관식: 배관설비가 가장 복잡, 혼합 열손실이 발생X
5) 온수 온도에 따른 분류
저온수방식(개방식): 100℃ 이하(65~85℃)
고온수방식(밀폐식): 100℃ 이상(100~150℃)
6) 온수 순환방식에 따른 분류
중력식: 온도차에 따른 자연순환 방식
강제식: 순환펌프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순환하는 방식
7) 배관방식에 따른 분류
단관식: 공급관과 환수관이 동일
복관식: 공급관, 환수관이 각각 다른 배관
8) 온수 공급방식에 따른 분류
상향공급식: 공급주관을 최하층에 배관
하향공급식: 공급주관을 최상층에 배관
▣온수보일러의 온수량
(Hb:보일러용량, t1:입구수온, t2:출구수온)
▣온수방열기의 온수량
(EDR:상당방열면적, t1:입구수온,t2:출구수온)
▣관경결정
(Q:유량, V:유속)
▣온수난방 배관의 구배 <p650>
일반적으로 1/250 이상으로 한다.
구배- 공기빼기밸브, 팽창밸브: 상향구배
배수밸브: 하향구배
1) 단관 중력순환식: 온수주관은 하향구배
2) 복관 중력순환식-
①상향공급식: 공급관은 상향구배, 환수관은 하향구배
②하향공급식: 공급관, 환수관 모두 하향구배
3) 강제순환식: 배관의 구배를 자유롭게 선정
▣온수난방 배관시공
①편심레듀서(수평배관에서 관경을 바꿀 때)
②지관 접속(지관이 주관 아래로 분기될 때 45°이상 상향구배)
③공기빼기밸브 설치
④신축을 흡수하기 위해 엘보 사용
⑤방열기마다 반드시 수동식 에어벤트 부착
⑥배수밸브 설치(드레인 처리위해 배관의 최하단부에 설치)
⑦슬리브(바닥이나 벽을 관통할 경우 신축을 흡수하고 교체수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관을 설치한다.)
▣안전관 구경
▣팽창관 구경
▣상당방열 면적 ▣증기량
▣마찰저항 손실
▣증기난방의 표준구배
①증기관- 순구배: 1/100~1/200
역구배: 1/50~1/100
②환수관- 순구배: 1/200~1/300
▣증기보일러 주위배관
①하트포드 접속법: 증기관과 환수관 사이에 균형관을 접속하여 환수관 누설로 인하여 보일러 수위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②보일러의 증기 취출관은 60cm 이상 입상하여 루프 배관으로 한다.
▣리프트피팅
①진공환수식에서 환수관보다 높은 위치에 진공펌프를 설치할 때, 방열기보다 환수관이 높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②리프트관은 환수관보다 1치수 작은 것을 사용하며 1단 흡상높이는 1.5m이다.
▣급수설비
1)수도직결방식
2)고가(옥상)탱크방식
급수경로:
수도본관-수수탱크-양수관-옥상탱크-수직하향관-수전
3)압력탱크방식
▣최저 필요압력
(P1:최고층 수전의 높이에 해당하는 압력,
P2:기구별 최저 필요압력, P3:관내의 마찰손실 수압)
▣허용 최고 압력
▣압력탱크의 용적
VH:압력탱크 내의 최고 압력일 때의 수량의 비율,
VL:압력탱크 내의 최저 압력일 때의 수량의 비율)
▣
건물의 사용인원에 따른 급수량
건물면적에 의한 급수량
사용기구에 의한 급수량
( N: 인원수 q:1인1일당 급수량
k: 건물 연면적에 대한 유효면적의 비율
n: 유효면적당의 인원수
A: 건물면적 p:동시사용률 f:위생기구수
q':위생기구 1개당 1일 급수량 )
▣건물의 시간 평균 급수량
▣시간 최대 급수량
▣순간 최대 급수량
▣급수배관의 설계
1) 유출량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수압-
3) 급수관의 관경은 15mm, 플래시밸브의 관경은 25mm
▣수격작용(압력변동에 의한 소음과 진동) 방지법
①유속을 2m/s 이하가 되도록 한다.
②관경을 크게 한다.
③밸브의 개폐를 천천히 한다.
④급수전 가까이에 공기실을 설치한다.
▣급탕설비
1) 개별식 급탕방식 -
①순간 급탕식 ②저탕형 급탕식
③기수혼합 급탕식(공장이나 병원에 주로 사용,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사일런스(S형,F형)를 설치한다.)
2) 중앙식 급탕방식 -
①직접 가열식 ②간적 가열식
▣급탕량 표준
▣1인 최대급탕량
▣1시간당 최대 급탕량
▣가열코일의 능력
( N: 인원수 qd: 1인1일당 급탕량
qh: 1일 1시간당 최대치 비율
e: 1일 사용량에 대한 가열능력의 비율
th: 급탕온도 te:물의 온도
q: 기구 1개 1회당 급탕량
n: 기구 1시간당 사용횟수
▣중력순환식의 순환수두 <p593>
(로우1: 환탕관 내의 밀도, 로우2:급탕관 내의 밀도
h:가열기에서 기구까지의 높이(m))
▣강제순환식의 펌프 전양정
▣급탕배관의 시공
①중력순환식 배관구배는 1/150,
강제순환식 배관구배는 1/200
②팽창탱크는 최고층의 급탕전보다 5m 이상 높게 설치한다. (팽창관은 25A이상의 관을 사용하고 밸브설치는 X)
③보온피복의 두께(저탕조는 규조토 50mm로 한다.)
구경 |
두께 |
40이하 |
20 |
50~90 |
25 |
100~150 |
30 |
200이상 |
35 |
④게이트밸브 설치하여 공기를 뺀다.
⑤관경결정은 급수관과 동일하며 복귀관은 급탕전보다
1치수 작은 것을 사용
▣냉동설비(프레온 냉동장치의 배관시공)
배관재료: 이음매 없는 동관을 사용한다.
패킹재료: 인조고무를 사용한다.
▣냉동설비(암모니아 냉동장치의 배관시공)
배관재료: 강관(SPPS)을 사용
패킹재료: 천연고무, 아스베스토스를 사용
▣플래쉬가스 방지 방법
①급격한 입상은 피하고 액관, 밸브류를 크게 한다.
②액관을 방열시공 한다.
③열교환기를 설치하여 냉매액의 과냉각도를 크게 한다.
④응축설계 온도를 높게 한다.
⑤액펌프 방식을 채택한다.
▣가스설비
▣가스배관시공
①지상배관: 황색으로 표시
매설배관: 적색 또는 황색으로 표시
②배관을 도로에 매설할 경우: 매설깊이는 1.2m 이상
시가지외 도로에 매설할 경우: 매설깊이는 1.5m 이상
③가스미터 설치시 유의 사항
- 직사광선을 피하고 진동이 없는 곳에 설치할 것
- 검침 및 보수가 용이한 곳
- 화기와 2m 이상, 저압전선과 15cm 이상, 전기개폐기와
60cm 이상의 우회 거리가 유지될 수 있을 것
④설치높이는 1.6m 이상 2m 이내에 밴드등으로 고정
▣LP가스의 조정기
연소기에 공급하는 가스의 압력을 감압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여 정상적인 연소가 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조정기 설치시 유의사항
①통풍이 잘 되는 실외에 설치할 것
②직상광선을 피하여 빗물이 스며들지 않는 곳에 설치
③화기로부터 2m 이상 떨어져 있거나 차단장치를 설치
④가스용기나 배관에 직접 접속하며 무리하게 조이지 않음
⑤접속구에 이물질이 없도록 하며 동결에 주의
⑥조정기 설치 후 비눗물로 검사한다.
-------------------------------------------
관지지시 고려할 사항: <p698>
관중량, 충격과 진동, 관신축, 배관구배, 처짐고려
고압에 잘 견딜 수 있는 이음방법은? <p699>
신축곡관(루프형)
급탕설비 배관의 압력손실 요인? <p700>
①배관 이음부에 의한 압력손실
②직관의 내부 거칠기에 의한 압력손실
③배관의 수직 상향에 의한 압력손실
용접식 이음쇠인 롱 엘보의 곡률 반경은 강관 호칭지름의 몇배인가? <p696>
1.5배
스팀사이렌서(급탕설비)- 소음방지 <p667>
S형: 소독용 F형: 욕탕용 탱크가열기로 사용
관재를 둥글게 가공할 때 관재의 소요길이 계산은 어느 부분을 기분으로 하는가? <p667>
: 관재의 중립선
증기난방의 환수 배관방식에서 <p668>
환수관이 보일러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관: 건식 환수식
환수관이 보일러 수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관: 습식 환수식
①냉매 배관 중 액관은? <p668>
응축기와 수액까지의 배관
②토출관: 압축기와 응축기까지의 배관
③흡입관: 압축기와 증발기까지의 배관
온수난방에서 역 귀환방식으로 배관하는 이유는? <p668>
방열기에 이르는 배관에서의 순환율이 같도록 하기 위해서
팽창탱크의 역할? <p668>
온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체적팽창을 흡수하여 난방시스템의 파열을 방지하는 장치
급탕배관의 시공? <p668>
①상향식일 때
급탕관은 상향구배, 환수관은 하향구배로 하고
②하향식일 때
급탕관, 환수관 모두 하향구배로 한다.
보온재의 종류 중 안전 사용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p669>
①펠트류: 100℃이하
②글래스 울: 300℃[방수처리된 것:600℃]이하
③석면: 350~550℃
④퍼얼라이트: 650℃
연관용 공구
드레서: 연관표면의 산화물제거
맬릿: 나무해머 턴핀: 연관 끝을 넓힐 때
벤드밴: 연관에 끼워 관을 굽히거나 펼 때
동관용 공구
사이징 툴: 동관 끝을 원형으로 정형
스케줄번호 구하기
증기 속에 수분이 섞여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 증기내관 <p649>
스위블이음: 2개 이상의 엘보를 연결한 구조로 한쪽이 팽창하면 비틀림이 생겨 배관이음부 엘보에서 팽창을 흡수
<p649>
증기난방의 분류(응축수 환수 방법에 따른) <p650>
①중력환수식 ②기계환수식 ③진공환수식
흡입압력 조정밸브: <p650>
-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
- 리퀴드 백의 우려가 있을 때 설치
- 소정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 과부하에 의한 전동기 소손
방지
증발압력 조정밸브: <p650>
한 대의 압축기로 증발온도가 각기 다른 여러 대의 증발기
를 동시에 운전하고자 할 때
관용나사의 테이퍼는? <p650>
: 1/16
증기배관의 보온재료는? <p650>
로크울, 글래스울, 규조토
기본적인 문제 <수압구하기> <p651>
0.324: 관의 마찰저항손실
0.7: 플래쉬 밸브의 필요 수압
공동주택에서의 허용 급수최고 압력은? <p648>
증기와 드레인을 분리하고 공기와 드레인을 함께 처리하는
트랩은? <p648>
: 열동식 트랩
주철관의 용도? 급수관용, 배수관용, 통기관용 <p592>
동관의 용도? 난방코일용
전기정전시 계속하여 급수를 할 수 있는 방식은? <p592>
: 수도직결 방식
동관의 바깥지름? <p592>
바깥지름 = 호칭경(인치) + 1/8(인치)
체크밸브(스윙형, 리프트형, 풋형) <p593>
- 스윙형: 수직. 수평배관에 사용
- 리프트형: 수평배관
- 풋형: 펌프 흡입관 하부에 사용
보온피복을 요하지 않는 부분은? : 통기관 <p593>
팬코일 유닛(FCU) 설치시 유의사항은? <p593>
- 외기부하가 큰 창가쪽에 설치한다.
- 냉온수 배관은 신축을 고려한다.
- 공기토출구의 위치가 기류분포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 드레인 배관은 구배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급수배관에서 수평관에 상향구배를 주어서 시공하려고 한다. 구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지지금속은? <p594>
: 턴버클
가스유량 구하기 <p739>
가스 배관재료 중 내약품성 및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며
사용온도가 80℃ 이하인 관은? 폴리에틸렌관 <p739>
가스용접에서 아세틸렌가스와 산소를 이용하여 용접 시 발생하는 불꽃은? 탄화불꽃(아세틸렌 과잉)
산화불꽃(산소 과잉), 표준불꽃(중성) <p739>
고가 탱크식 급수방법? <p740>
: 건물옥상의 고가 수조에 저장된 물을 낙차에 의해 각 층의 급수기구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구배
① 단관 중력 환수식 - <p740>
순류관
② 복관 중력 환수식 -
온수 난방에서 리버스 리턴방식(역순환식)채택 이유?
: 온수의 유량 분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p741>
고압증기관에서 권장 제한 최대유속은? 25~40m/s
<p741>
증기난방의 증기 경로? <p741>
보일러 - 스팀헷다 - 증기공급관 - 감압밸브 - 방열기
경질 염화비닐관의 특성? <p713>,<p742>
①열 팽창율이 크다.(철의 7~8배)
②관내 마찰손실이 적다.
③저온 고온에서 강도가 저하된다.
④내식성,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큼. 약품용, 가스배관
관경 결정 방법 중에서 단위길이당 마찰손실이 일정하도록 하고 관경을 결정하는 방법은? 등마찰손실법 <p742>
벨로즈형 신축이음쇠의 특징 <p752>
①설치 공간이 작고 응력발생이 없다.
②누수가 없고, 고압에 부적당하다.
냉매배관용? 저온 배관용 탄소강 강관 (SPLT) <p710>
순환펌프의 양정? <p711>,<p756>
※ 수격압은 유속의 14배 정도 된다. <p711>
냉동장치의 토출배관 시공 시 주의사항? <p713>
①관의 합류는 T이음보다 Y이음으로 한다.
②압축기 정지 중에도 관내에 응축된 냉매가 압축기로 역 류하지 않도록 한다.
③응축기 쪽으로 하향구배를 하여 압축기 정지 중에 압축 기로의 역류를 방지한다.
④헤드의 굵기는 가스가 충돌하지 않는 굵기로 한다.
고가탱크식(옥상탱크식) 급수법에서의 펌프는 옥상수조
유효용량의 2배로 하고 탱크의 용량은 1일 사용량의 1~2시간분 이상의 용량이면 된다. <p753>
밀폐식 팽창탱크에 필요한 것? <p753>
: 압력계, 수면계, 안전밸브, 드레인밸브
급수배관의 수격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은?
: ①공기실(격막식 에어 챔버)설치, ②유속을 2m/s 이하
③관경을 크게 <p753>
개별식 급탕방법 <p754>
배관의 길이가 짧아 열손실이 적다.
사용이 쉽고 시설이 편리하다.
소규모 설비에 적용된다.
필요한 즉시 높은 온도의 물을 쓸수 있고 설비비가 싸다.
배수트랩의 종류: S형, P형, U형 <p755>
※ 급수관의 지름을 결정할 때 굵은 관을 쓰는 것이 가는 관을 쓰는 것보다 마찰손실이 적다 <p755>
(이와 반대로 말하면서 틀린 것을 고르라 한다.)
내식용, 내열용, 고온용, 저온용 배관에 사용되는 강관?
: 보일러 열교환기요 스테인레스강관 <p755>
방열기 표시(동그라미 그려놓고 외울 것) <p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