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제어공학
---------------------------------------
※직류회로
▣전류
(Q:전기량(C), t:시간)
▣전기량
▣전압 <p715>
(W:일(J), Q:전기량)
▣저항과 컨덕턴스
▣옴의 법칙
▣저항의 직렬접속<책보고 정리할 것>
▣저항의 병렬접속<책보고 정리할 것>
▣
▣
▣키르히호프 제1법칙: 전류 평형의 법칙
▣키르히호프 제2법칙: 전압 평형의 법칙
▣배율기
▣분류기
▣휘스톤브리지
▣전력(P)
▣전력량
▣줄의 법칙
▣펠티어효과(=전자냉동기의 원리)
: 두 종류의 금속의 접합부에 전류를 흘리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흡열과 발열현상이 나타난다.
▣제벡효과(=열전쌍, 열전온도계에 응용)
: 종류가 다른 2종의 금속선을 접속하여 폐회로를 만들어서 두 개의 접합점을 다른 온도로 유지할 때 이 회로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
▣정전기
1)쿨롱의 법칙
2)전기력선
3)콘덴서
4)콘덴서의 직렬 접속
5)콘덴서의 병렬 접속
6)정전에너지
▣자기회로
1)쿨롱의 법칙
2)암페어의 오른나사 법칙
3)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
4)플레밍의 왼손법칙
5)전자유도
6)자기유도와 상호유도
- 자기유도
①유도기전력
②자기유도계수(인덕턴스)
- 상호유도
①유도기전력
7)결합계수
①두 코일이 자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계수로서 두 코일간의 누설 자속이 없는 경우에는 K=1이 된다.
②두 코일의 모양, 크기,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M:상호유도계수, L12:자기유도계수)
8)인덕턴스의 직렬연결
①가동접속
②차동접속
9)자기에너지
-------------------------------------------
※교류회로
▣주파수와 주기
1)주기
2)주파수
3)각속도
4)회전수
5)초위상(시간 t=0 에 있어서의 위상)
6)위상차(주파수는 같고 위상이 다른 두 정현파의
시간적인 차)
▣정현파 교류의 크기
2)순시값
3)실효값
4)평균값 <p285>정현파의 평균값
5)파고율
6)파형율 <p264>이 가장 큰 것은? 삼각파(1.154)
7)왜형률
명칭 |
구형파 |
구형반파 |
정현파 |
정현반파 |
삼각파 |
실효값 |
|
|
|
|
|
평균값 |
|
|
|
|
|
파형률 |
1 |
1.414 |
1.11 |
1.571 |
1.155 |
파고율 |
1 |
1.414 |
1.414 |
2 |
1.732 |
▣교류회로의 기본회로
1) 단독회로
① R회로
② L회로
③ C회로
2) 직렬회로
① R-L직렬회로
② R-C직렬회로
③ R-L-C직렬회로
3) 병렬회로
① R-L병렬회로
② R-C병렬회로
③ R-L-C병렬회로
①어드미턴스는 임피던스의 역수이다.
②벡터 어드미턴스는 실수부 G를 콘덕턴스,
허수부 B를 서셉턴스로 표시한다.
▣교류전력
4)전부하전류
역률 개선책: 진상콘덴서를 병렬로 접속
▣과도현상
1) R-L 직렬회로
2) R-C 직렬회로
▣2단자망
1) 정저항회로
2) 역회로
▣직류발전기의 구조- 전기자, 계자, 정류자, 브러시
①전기자: 자속을 끊어서 기전력을 유도하는 장치
②계자: 주자속을 만들어 주는 장치
③정류자: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
④브러시: 정류자면에 접촉해서 전기자권선과 외부회로를
연결하는 장치
▣브러시의 구비조건
① 기계적강도가 클 것
② 내열성, 내마모성이 클 것
③ 접촉저항이 클 것
④ 전기저항, 마찰저항이 작을 것
▣발전기의 유도기전력
V:단자전압, Ia:전기자 전류, Ra:전기자 저항)
▣발전기의 규약효율
▣전기자 반작용 <p283>
: 전기자 전류에 의한 자속이 계자 자속에 영향을 미쳐서 공극의 자속분포를 변화시키는 현상
1)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
①주자속이 감소: 발전기는 유도기전력이 감소,
전동기는 토크가 감소
②전기적 중성축이 이동:
발전기는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
전동기는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
③높은 전압이 발생하여 불꽃이 발생되며 정류가 불량
2) 전기자 반작용의 방지법
①보상권선을 설치
②보극을 설치
▣정류를 양호하게 하는 방법
①전압을 정류: 보극을 설치
②저항을 정류: 접촉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
탄소질 브러시 사용
③리액턴스 전압을 작게 한다.
④정류주기를 길게 한다.
⑤코일의 자기인덕턴스를 작게 한다.
▣직류발전기의 분류
①타여자발전기
②자여자발전기- 직권발전기, 분권발전기, 복권발전기
▣직류전동기
1)토오크
2)역기전력과 출력
3)속도변동률
4)직류 전동기의 규약효율 <p736>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법
1)속도제어법
①계자제어법
②직렬저항법
③전압제어법
- 워어드 레어너드 방식
- 일그너 방식
2)전동기의 속도제어
①분권전동기
②직권전동기: 엘리베이터, 전차운전에 적용
③복권전동기
▣제동법
①발전제동
②역전제동(플러깅):
운전 중인 전동기의 전기자 전류를 반대로 전환하면 반대 방향의 토크가 발생되어 제동하게 되는 방식이다.
③회생제동
▣유도전동기
3)실제속도 <p206>
<p737> (P:극수)
4)역회전: 유도전동기의 3선 중 임의의 2선을 반대로 바꾸어 접속
▣유도 전동기의 전력, 토오크, 효율
※ 선간전압은
2)2차 출력과 동손의 관계
▣유도전동기의 종류: 농형 유도전동기
권선형 유도전동기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1)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①전전압기동법
③기동보상기법
④리액터기동법
2)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2차 저항 제어법: 비례추이의 원리를 이용
▣3상 유도전동기에서 2차 저항을 줄이려면?
- 최대 토크는 변하지 않고 기동 역률은 증가한다.
- 최대 토크일 때의 슬립은 커지고, 전부하 효율과 속도가
저하된다.
- 기동전류는 감소하나 기동토크는 증가한다.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 <p247>
① 농형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
- 주파수 변환법, 극수 변환법, 종속법
②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
- 저항제어법(슬립제어), 2차 여자법, 종속법
▣변압기
1)1차측, 2차측 유도기전력
2)권선비
3)전압변동률
4)임피던스 전압강하율
5)변압기 효율
①규약효율
②전부하효율
③최대효율
▣변압기의 결선법
1)Y-Y결선
4)V-V결선
▣2대의 단상변압기를 사용해서 3상을 2상으로 변환하는 결선방법
①스코트결선 ②메이어결선 ③우드브리지결선
▣시퀀스제어 <p283>
※논리연산 <p734>
▣유접점시퀀스의 제어기기
- 조작용기기, 검출용기기, 신호처리기기,
구동용기기, 표시/경보기기, 제어대상기기
구동용기기: 전자접속기, 전자개폐기, SSR
▣피드백제어(=폐루프제어)
: 제어계의 출력값이 목표값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출력값을 입력으로 피드백 시켜 오차를 수정하도록 귀환경로를 갖는 제어방식이다.
▣피드백제어의 특징
①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
②정확성이 증가한다.
③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감소한다.
④감대폭이 증가한다.
⑤발진을 일으키고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⑥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가 비싸다.
▣피드백제어의 분류
1) 목표값의 시간적 성질에 의한 분류
①정치제어
②추치제어(추종제어, 프로그램제어, 비율제어) <p714>
2) 제어량에 따른 분류
①정치제어(프로세스제어, 자동조정)
②추치제어(서보기구): 물체의 위치, 방위, 각도등의 상태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미사일 추적장치, 레이더, 선박의 방향제어
3) 제어동작에 따른 분류
▣불연속제어와 연속제어
①불연속제어: 2위치제어, 다위치제어, 샘플값제어
②연속제어: 비례제어, 적분제어, 미분제어, 비례적분제어, 비례미분제어, 비례적분미분제어
▣안정도 판별법
①루우드 판별법
②훌비쯔 판별법
▣제어계의 성능평가의 척도
①속응도: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을 고려하여 성능을 평가
②상대적 안정도: 이득여유와 위상여유가 클수록 상대적 안정도는 크다.
③제어 정도: 목표값이나 외란 등의 입력신호가 가해졌을 때 동작신호에 대한 피드백 제어계의 정상 응답특성을 고려하여 성능을 평가
④오버슛: 응답 중에 발생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최대 편차량을 말하며 안정성의 척도를 판단하는 양이다.
▣증폭기기
전기계 <p245>
①진공관(전자관)
②반도체 증폭 소자: 트랜지스터, 사이리스터
③자기증폭기(전력증폭기)
④회전증폭기: <p261>
앰플리다인(전력증폭기), 로트트롤(파워증폭기)
기계계 <p245>
①공기식: 노즐 플래버 (변위→공기압)
벨로스 (압력→변위)
②유압식: 파일럿밸브 (변위→유량)
▣조작기기의 분류 및 특징
①공기식: 다이어프램밸브, 밸브포지셔너, 파워실린더
②유압식: 조작실린더, 안내밸브
③전기식: 전자밸브, 전동밸브, 직류서보전동기, 클러치
▣검출기기
①자동조정용 검출기
②서보기구용 검출기
③공정제어용 검출기
▣반도체 소자
1) 정류 다이오드
2) 제너 다이오드
3) 트랜지스터
4) 실리콘제어정류소자(SCR, 사이리스터) <p244>
①PNPN의 순서로 접합
②직류/ 교류 전력 제어용
③방전개시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5) 트라이액
6) 다이액
7) 서미스터
8) 바리스터
9) 연산증폭기
▣전력변환회로
①정류회로(순변환장치)
: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
②인버터회로(역변환장치)
: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화하는 장치
③교류전력조정회로
: 교류전압을 크기가 다른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
④초퍼회로
: 일정한 직류전압을 다른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
-------------------------------------------
특성방정식 구하기? <p185>
전기량? <p186>
직류전동기의 기계적 출력? <p186>
자기장
자계의 세기
1kW=102kgf․m/s=860kcal/h <p203>
속응도: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을 고려하여 성능평가
상대적안정도: 이득여유와 위상여유 <p204>
신호전송방식 <p205>
: 공기압, 유압, 전기식등에 의해 전송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비례추이 <p203>
<p205>,<p282>
동작신호: 기본입력과 궤환신호의 차
조작량: 제어요소가 제어대상에 주는 신호 <p734>
외란: 제어량에 영향을 주는 외적신호
제어편차: 목표값과 제어량의 차
<p206>
전달함수 G(S)=4+8/5+6S
시퀀스 제어에 속하는 것? <p207>
켄베어제어, 엘리베이터제어, 커피자동판매기
서보기구의 제어량? <p220>
위치, 방향, 자세 등을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
소비전력량? <p220>
권선기는 타여자 전동기에 사용 <p220>
25%의 전류값이 증가했다는 것은 <p220>
토크T를 전기적 유추로 변환하면? 전압 <p221>
슬립의 범위 0< s <1 <p243>
s=0: 동기속도로 회전
s=1: 정지나 기동상태
연산증폭기: 아날로그 신호처리 <p243>
직권전동기: 기동이 빈번하고 토크변동이 큰 곳에 사용된다. 전차, 기중기 등에 주로 사용하는 직류 전동기이다.
<p243>
순서제어(시퀀스제어): 전단계의 동작이 끝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제어이다. <p245>
추치제어: 자동 아날로그의 선반제어, 열처리로의 온도제어
보일러의 자동연소제어 <p245>
추치제어(목표값이 시간이 따라 변화하는 제어)
기전력구하기? <p246>
(L:상호인덕턴스, di:전류변화량, dt:시간변화량)
- 시퀀스 제어: ①시한제어 ②조건제어 ③순서제어
한시동작에 의해서만 제어되는 것이다.
- 피드백 제어: 제어계의 동작상태를 교란하는 외란의 영 향을 제거할 수 있는 제어 <p247>
열전형 계기는 고주파 직교류용 측정에 사용한다. <p247>
회생제동: 전기적 제동법으로 전동기가 갖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것을 전원으로 되돌리면서
제동을 하는 방법. 열차의 평균속도가 떨어진다.
속도제어법 <p247>
①권선형 유도전동기: 2차 저항제어법, 2차 여자법
②농형 유도전동기: 극수변환, 1차 전압제어, 주파수 제어
<p261>
소금물 등 이온화되는 전해질은 농도가 높든가 낮으면
저항값이 적어지는 (+)온도계수를 갖는 특성이 있다.
변압기를 스코트 결선할 때 이용율은? <p261>
<p115>
2대의 단상변압기를 사용해서 3상을 2상으로 변환하는
결선 방법? 스코트결선, 메이어결선, 우드브리지결선
<p262> 조작기기의 설명
전기식: 적응성이 대단히 넓고, 특성 변경이 쉽다
공기식: PID동작을 만들기 쉽고, 장거리 전송이 늦다
유압식: 관성이 적고 부피 무게에 대한 출력이 저속이며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전기계: 전자밸브, 전동밸브, 직류서보전동기, 펄스전동기
<p263> 전기량 구하기?
<p263> 2진수를 16진수로?
0010 1111 0101 1001
<p125>
PD동작(비례미분동작) <p263>
: 제어계의 응답 속응성을 개선하기 위한 제어동작
D동작(미분동작) <p716>
: 오차가 변화하는 속도에 비례하며 조작량가감
I동작(적분동작)
: 조작량이 편차의 시간 적분값에 비례하여 조작부를
제어하는 동작
PI동작(비례적분동작) <p717>
: 잔류편차를 제거하는 장점이 있으나
간헐현상이 있다.
<p263>
n상n선식의 교류회로의 전력이 (n-1)대의 단상 전력계
의 지시치의 대수합으로 구해진다는 정리이며 2대의
(n-1) 단상 전력계를 사용하여 3상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2전력계법이라 한다.
(3상3선식이면 2대의 단상전력계면 된다.)
<p263> 2진수 11001을 그레이코드로 변환? 10101
XOR (Exclusive OR ; 같으면 0, 다르면 1)
처음은 그대로 1, 두번째는 첫번째 1과 두번째 0
다르므로 1, 세번째는 두번째 0과 세번째 1 다르므로 1
네번째는 세번째 1과 네번째 1 같으므로 0
<p264>
파형률이 가장 큰 것은?
삼각파: 1.154로 가장 크다.
<p263>
프로그램제어: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량을
변화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
정치제어: 목표값이 시간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는 제어
(프로세스제어, 자동조정) <p285> <p286>
추종제어: 목표값이 시간에 대하여 임의로 변화하는
경우의 제어 (대공포 포신제어)
비례제어: 목표값이 다른 양과 일정한 비율관계를 가지고
변화하는 경우의 제어
<p264>
<p265>주기구하기
<p265>드모르간의 정리
<p282> 콘덴서의 정전용량 구하기
<p283>,<p758> 소비전력 구하기?
<p283> <p122>
합성전달함수 구하기? <그림 꼭 그려 넣을 것>
두 개의 전달함수가 직렬 결합되면 각 블록 전달함수의 곱으로 전체 전달함수를 나타낸다.
<p284> 47. 전압구하기
<p284> 48. 적분회로
<p284> 압력을 감지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 스트레인 게이지
<p285> 소형 전동기의 절연저항 측정에 사용되는 것은?
: 메거(절연저항 측정은 보통 500V 메거를 사용한다.)
<p286>선전류구하기
<p714>피드백회로의 종합 전달함수 C/R 은?
(그림 그려 넣을 것)
<p714>제어계의 입력과 출력이 서로 독립적인 제어계에
해당되는 것은? 출력이 입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제어는? 시퀀스제어(=개루프제어)
(세탁기, 자동판매기, 엘리베이터) <p716>
<p714>브리지회로에서 검류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저항 r5의 값은 몇 옴인가?
(그림 그려 넣을 것)
<p715>유도전동기의 손실을 구하라. 출력1kW, 효율80%
250W 가 된다.
<p715>100V의 기전력으로 100J의 일을 할 때 전기량은?
<p716>맥동주파수가 많고 맥동률이 가장 적은 정류방식?
: 3상정류회로=3상전파브리지회로
<p716>D동작제어?
<p716>실리콘 제어 정류기의 전압대 전류의 특성과 비슷
한 소자는? 다이어트론
<p716>직접 디지털제어의 특징
①제어내용은 프로그램으로 실현된다.
②컴퓨터의 출력을 조작부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③종래의 제어기에서 실현하기 어려운 제어내용을 쉽게 재 현할 수 있다.
<p717>CPU의 구성?
: 프로그램 카운터, 레지스터, 연산장치(명령해독제어)
<p717> 벡터궤적? (수식이랑 그림 그려넣을 것)
<p717> 저항의 종류 중 가능한 큰 것이 좋은 것은?
: 절연저항
<p717> 시정수구하기? 0.2(ms)
<p718> AC 서보전동기의 전달함수는 어떻게 취급하면 되는가? : 적분요소와 1차 요소의 직렬결합으로 취급한다.
<p735> 2차회로의 전압방정식 외워둘 것 (써놓을 것)
<p735> 콘덴서의 용량 구하기 (써놓고 외워둘 것)
<p735> 위상차를 시간으로 나타내기? (써놓고 이해할 것)
<p735> 전력에 대한 설명은?
①단위는 J/sec 이다. ②단위시간의 전기 에너지이다.
③공률과 같은 단위를 갖는다.
<p735>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기기기(정류기)?
: 전동발전기(세밀하게 전압조정)
회전변류기(저전압), 수은정류기(고전압)
<p736> PI 조절계의 전달함수는?
<p736> PID (비례적분미분) 동작을 이용했을 때의 특징?
①응답의 오버슛을 감소시킨다.
②잔류편차를 최소화 시킨다.
③정정시간을 적게 한다.
④가장 안정된 제어로 최적제어이다.
<p736> 안전전류는 전력의 몇 제곱에 비례하는가?
<p736> 서보전동기
①기동, 정지, 역전 동작을 자주 반복할 수 있다.
②속응성이 충분히 높다.
③신뢰도가 높다. ④정지상태, 저속회전이 많다.
<p737> 철심을 가진 변압기 모양의 코일에 교류와 직류를
중첩하여 흘리면 교류임피던스는 중첩된 직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데 이 현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증폭하는 장치는?
: 자기증폭기
<p737> 도전율이 가장 우수한 재질은? 연동선
f는 주파수인데 기본값 60으로 한다.
<p738> 피드백 제어계의 제어장치에 속하는 것은?
: 설정부, 조절부, 검출부
각속도 오메가를 전기적 유추로 변환하면? <p757>
: 전류
시퀀스 제어계의 제어장치에 속하는 것은?
: 조작부, 제어부, 구동부, 검출부, 표시부
전류에 의한 자장의 방향을 결정해 주는 법칙은? <p757>
: 암페어의 오른나사법칙
①플레밍의 왼손법칙: 전자력의 방향을 알기 위한 법칙
②플레밍의 오른손법칙: 도체의 운동에 의한 전자유도로
생기는 기전력 방향을 알기 위한 법칙
③렌쯔의 법칙: 도체에 발생된 유도전압은 그 전압에 의해 서 흐르는 전류가 도체 내의 자속변화를 방해하는 방향 으로 발생된다.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2차 회로에 저항기를 접속시키는
이유? <p757>
①속도제어 ②기동전류감소
③기동토크증가 ④최대토크일정
※피드백 제어계의 특징은? <p244>,<p757>
①노동조건의 향상 및 위험한 환경의 안정화를 가할 수 있다
②생산속도를 향상시키고,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③자동장치의 운전수리 및 보관에 고도의 지식과 능숙한 기술이 있어야 한다.
⑤정확성 증가, 감대폭의 증가
⑥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대 출력비의 감도 감소
⑦비선형과 왜형에 대한 효과의 감소
⑧발진을 일으키고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가는 경향
※서보전동기는 <p758>
피드백제어계의 조작부(조작기기)에 해당한다.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 <p758>
①주파수변환 ②극수변화 ③2차저항법 ④종속법
1차정격전류 구하기? <p758>
3300/200V, 10kVA인 단상변압기의 ~라고 문제에 나오면
PLC 제어 프로그램의 용이성에 대한 특징? <p759>
①특별한 전문적 기술교육 없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②계산기와는 달리 제어기능의 효과적인 수행이 목적
대칭3상 결선의 상전압이 220V이다. A상의 전원이 단선
되었을 때 선간전압은? 220V <p759>
진동이 일어나는 장치의 진동을 억제시키는 데 가장 효
과적인 제어 동작은? 미분동작 <p759>
※진동은 적분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현상으로 미분동작이
진동을 억제한다.
전압계에 대한 설명은? <p759>
①동작원리는 전류계와 같다.
②회로에 병렬로 접속한다. (전류계는 직렬이다.)
③내부저항이 있다.
④가동코일형은 직류측정에 사용된다.
회로망에서 전류 산출하는 식? (그림 그려 넣고 이해)
<p760>
변하게 되는가? 1/3배 <p760>
전기로의 온도를 1000℃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열전온도계의 지시값을 보면서 전압조정기로 전기로에
대한 인가전압을 조절하는 장치 <p760>
열전온도계: 검출부 목표값: 1000℃
제어량: 온도 제어대상: 전기로
조작부: 전압조정기
단상 교류전력을 측정하는 방법? <p776>
3전압계법, 3전류계법, 단상전력계법
엘리베이터용 전동기의 필요 특성? <p777>
①기동토크가 크고 기동전류가 작아야 한다.
②소음 및 속도와 회전력의 맥동이 없어야 한다.
기계기구의 상태나 신호의 전달 및 시퀀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은? 블록선도 <p777>
압력을 변위로 변환하는 변환요소? <p777>
: 벨로우즈, 다이어프램, 스프링
전원전압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이오드?
: 제너다이오드 <p777>
유도전동기의 회전력은 단자전압과 어떤 관계를 갖는가?
(식 써놓고 외울 것) <p777>
공진주파수
(꼭 문제 확인해 볼 것) <p779>
역률구하기(삼각형 그려 놓을 것) <p779>
합성저항구하기(그림 그려 놓고 이해할 것) <p779>
직선전류에 의해서 그 주위에 생기는 환상의 <p779>
자계(자기장) 방향은?
- 전류의 방향: 오른나사의 진행방향
- 자기장의 방향: 오른나사의 회전방향
전달함수G 구하기
'회사 생활&자격증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콘의 작동 원리 (0) | 2010.02.24 |
---|---|
2010년 자격증 시험 일정 (0) | 2010.02.24 |
공기 조화 마무리 정리 (0) | 2010.02.24 |
냉동 공학 마무리 (0) | 2010.02.24 |
배관 일반 (0) | 2010.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