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 과부하에 대해서... 「모터의 과부하 운전에 대한 이해」 1. 기계적인 원인 1.1 일반적인 과부하 실제부하의 증가에 따른 과부하로서 대부분 서서히 증가하여 어느 과부하 전류값에서 안정되는 형태를 취하는 과부하를 의미한다 .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정상 운전상태에서 Pump Discharge Valve 측의 Full Opening 과 같은 실제적인 .. MOTOR 이야기 2010.02.25
MOTOR의 기동 방식 . 모타의 결선 4-1) 참고 결선도 표준결선도 λ - △ 기둥 결선도 λ - △ 기둥용의 직입시동 결선도 4/8극수 변환 단일 권선(정토오크) 결선도 MC : 전자접촉기 (①) OLR : 과부하 보호장치 (②) ㅡㅡㅡㅡㅡㅡ> ①,②는 사용자가 준비 바랍니다. 4-2) 전원공급용 (220/380/440V, 60Hz) 결선도 * 표준 MOTOR 220V, 60Hz 380 .. MOTOR 이야기 2010.02.25
전동기, 발전기, 변압기의 원리 <변압기의 기본원리> 그림과 같이 성층 철심에 권선n1(1차측)과 n2(2차측)를 감고 1차에 전류를 흘리면 1차권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1차측 철심에 자속이 발생하고 이 자속은 철심을 통해 2차권선을 쇄교한다. 2차권선의 내부에 있는 철심에서는 1차권선에 의한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자.. MOTOR 이야기 2010.02.25
MOTOR 개요 모터의 종류 (1) MOTOR는 여러 가지 분류 방법이 있으나 전원상수에 의해 단상 MOTOR와 삼상 MOTOR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1) 단상 MOTOR - 단상 전원은 일반 가정용의 상용 전원으로 한 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 전원 자체만으로는 MOTOR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기동을 위하여 CONDENSER를 보조 COIL에 연결하여 기동.. MOTOR 이야기 2010.02.25
전동기의 모든 것 1. 전동기의 원리 * Faraday의 전자유도법칙 : 가동COIL이 자계내에 위치하여 있을 때, COIL에 쇄교하는 자속량이 변화하면 그것에 비례하는 기전력(전압)이 발생함. * 가동COIL을 자속 및 가동COIL방향과 직각으로 이동시키면 COIL내부에 기전력이 발생(플레밍의 오른손법칙) * 자속과 직각으로 놓여진 도체를 .. MOTOR 이야기 2010.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