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B 혹은 ELCB ( 누전차단기) 와 NFB (배선용차단기) 의 차이점
1]우선 동력용으로 사용하는 380볼트의 전기를 누전차단기에 연결하는 것에 대하여:
.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어 판매되는 누전차단기에는 N 선을 연결하는 단자는 없습니다
즉 국내산 누전차단기는 모두 단상 2선식, 단상 3선식 , 3상3선식 일뿐이며 3상 4선식
의 누전차단기는 없습니다. 흔히 2P 3P 라고 명명하는 데요 . 국내산 누전차단기는
2P 아니면 3P 입니다. 4P의 누전차단기는 없습니다.
따라서 만일 3P 의 누전차단기에 3상 380 볼트가 인가되는 상황에서, 별도의 N선 ( 중성
선) 과 그 누전차단기의 2차측의 어느 한선 ( R 상 혹은 S 상 혹은 T 상중 어느 하나)에
220볼트의 단상 부하를 연결하면, 비록 누전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그 누전차단기의
입장에서는 중성선 (N선)을 통하여 누전이 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OFF 됩니다.
그러나 그 3P의 누전차단기를 떼어내고 그 자리에 3P의 NFB 를 연결하면, 그 NFB는
누전 감지 기능이 없으므로 , 그 NFB는 OFF 되지 않습니다. 3P의 누전차단기를 계속 사용
하기를 원한다면, 그 3P 의 누전차단기 옆에 별도로 2P의 누전차단기나 NFB 를 설치하여
220 볼트의 단상용 부하를 연결하십시오.
. 만일 그 3P 의 누전차단기에 연결된 부하들이 모두 380 볼트 짜리여서 별도의 N선을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그 누전차단기가 OFF 되었다면, 그것은 과부하에 의한 것일 것입니다
즉, 그 3P 의 누전차단기의 정격전류는 100 암폐어인데, 부하의 전류는 110 암페어라든지
하는 과부하 말입니다. 누전차단기의 정격전류를 넘겨서 전류가 흐르는 것 말입니다.
. 과부하에 의한 OFF 가 아니라면, 누전을 의심해야 할 것입니다. 누전을 측정해야 하겠지요.
. 누전도 아니고 과부하도 아니라면 누전차단기의 오동작에 의하여 OFF 된것입니다.
어떤 누전차단기는 그 옆에서 무전기만을 사용해도 그 무전기에서 나오는 전파의 간섭으로
인하여 OFF 되기도 합니다. 또는 용접기등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유도전기에 의하여 OFF
되는 수도 있습니다.
. 나는 지금껏 4P 의 누전차단기를 본 적이 없습니다. 국내에서 현재 누전차단기을 생산하는
업체는 LG산전, 대륙전기, 제일전기, 상도전기, 동우실업, 신동아전기, 서울산전이 있
습니다만 그 모두 2P 아니면 3P 만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혹시 질문자가 가지고 있는 누전
차단기가 외국산입니까? 만일 귀하가 4P의 누전차단기를 가지고 있다면 그 누전차단기의
OFF의 원인은 위의 청색으로 표시된 답 중에서 두번째, 세번째 , 네번째의 경우에 해당을
할 것입니다 .
2] ELB와 NFB의 차이점.
ELB - 과부하 차단도 목적이 되지만 주목적은 누전차단이 목적이다.
누전차단만을 목적으로 하는 누전차단기도 있슴. 시험버튼이 청색 혹은 녹색이면
그 ELB는 누전만을 차단하고 과부하시에는 차단되지 않음.
NFB - 과부하 보호가 목적입니다. 물론 누전시 흐르는 누전전류가 NFB의 정격전류를
넘어서면 그 NFB 는 OFF 됩니다.
과부하란 합선에 의한 과대전류, 부하 ( 기기, 기계) 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전류
의 과다한 흐름, 앞서 설명한 것처럼 누전에 의한 과전류를 말합니다.
* 누전차단기나 배선용차단기나 모두 "차단기"라 부르는 이유는 ELB나 NFB 의 목적이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아니고 그 2차측에 사고가 나면 재빨리 차단이 되어져서
사고가 더 이상 확대되는 것을 막고자 하는 것입니다.
누전차단기 동작원리 및 선정시 주의사항
동작원리
누전차단기는 부하측의 누전에 의하여 지각전류가 발생시에 이를 검출하
여 회로를 차단하는 방식의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이며 검출 기구로써
영상변류기(ZCT)를 사용합니다.
- 정상상태 |
|
누전트립 동작특성
전로의 지락, 부하기기의 누전이 발생하여, 정격감도전류이상의
지락전류가 흐를때, 누전트립 장치가 동작하여 차단시킵니다.
|
정격감도전류
누전차단기의 감도전류를 결정하는 것은 사용목적, 취부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인체 감전을 주보호 목적으로 하려면 30mA이하의 고감도형을 사용하고, 누전화재를 방지하려면 100mA, 200mA, 500mA 중감도형으로도
가능합니다.
- 누전차단기 선정기준
감 도 전 류 |
사 용 조 건 | |
고 |
15mA |
·감전의 위험이 큰장소 |
30mA | ||
중 |
100mA |
·기기의 접지가 되어 있는 회로에서 누전에 의한 감전보호, 화재보호를 |
200mA | ||
500mA |
감도전류 |
허 용 접 촉 전 압 | |
25V |
50V | |
100 |
250 Ω이하 |
500 Ω이하 |
200 |
125 Ω이하 |
250 Ω이하 |
500 |
50 Ω이하 |
100 Ω이하 |
종 별 |
접 촉 상 태 |
허용접촉전압 |
제1종 |
·인체의 대부분이 수중에 있는 상태 |
2.5V 이하 |
제2종 |
·인체가 현저하게 젖은상태 |
2.5V 이하 |
·금속제의 전기기계 장치나 구조적으로 인체의 일부가 항상 접촉되어 있는 상태 |
| |
제3종 |
·제1,2종 이외의 경우로써 통상의 인체에 접촉전압이 증가할 위험성이 높은 상태 |
50V 이하 |
제4종 |
·제1,2종 이외의 경우로써 통상의 인체에 접촉전압이 증가할 위험성이 적은 경우 |
제한없음 |
·접촉전압이 증가할 우려가 없는 경우 |
|
|
Ω≤ |
허용접촉전압(V) |
|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 (A) |
|
배선용차단기 구조 및 동작원리
|
|
| |
|
|
|
'전기 관련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된 차단기 신설의 예 (0) | 2010.02.25 |
---|---|
차단기 시퀀스 (0) | 2010.02.25 |
차단기 (0) | 2010.02.25 |
ELB를 사용하는 이유 (0) | 2010.02.25 |
누전 차단기의 동작 규정 (0) | 201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