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관련 상식

EOCR SETTING 방법

성공열매준비하기 2010. 2. 25. 00:39

세팅값은 즉 전류값입니다.

공식은요...

P=√3 ×V×I×Cosθ 입니다.

P는 전력으로 단위는 W(와트)입니다.

1HP에 746w이므로 이에 참조 하시길...

루트3이 나왓는데 이것은 3상일 경우에 쓰는것입니다..

단상일 경우엔 안쓰셔도 무관...

V는 전압값으로 지금 모터가 쓰는 전압값을 넣어주시면 되구요..

I는 전류 값으로 바로 이것이 세팅값이 되겠습니다.

Cosθ(우리말로 코싸인쎄타) 는 역율값인데 모터의 본체에 나와있을것입니다.

안나와 있다면 역율을 제는 기구가 있는데 머 다 나와 있으니...

만약 효율값과 역율값이 같이 나왔다면 그것을 곱한값을 넣어주시길...

타임값은 되도록이면 작은값으로 놓는것이 좋습니다.

예제를 한번 만들어 보죠...

4HP의 모터에 3상의 220V의 전압을 쓰는 모터가 있습니다. 역률은 0.9이구요.

이 모터의 세팅값은....

1HP=746W 이므로..


4HP=2984W 입니다.

2984=√3×220×I×0.9

2984=342.936×I

I=8.701…

여기서 주의 할점은 8.701에서 버림을 해주시라는것입니다...

그러므로 전류값은 약 8[A]가 되겠죠?

바로 그것이EOCR 세팅값입니다

 

 

전류값을 모럴때는 전류값조절기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리다 보면은 빨간 불이 깜박이는 시점이 생기는데 그시점 보다 약간 더 높게 놓으면 계산으로 나온값을 셋팅하는것보다 정확하게 됩니다

 

 

 

초기 기동전류값을 무시하기 위한 시간이 이오시알 디타임입니다.

기동전류가 안전화된다면 예를 들어 15총에 안정화된다면 30초로 EOCR D-TIME을 맞출 필요는 없다.

 

현장에서  EOCR 앞단전류의 변화 추이를 한번 확인해보면.
기동후 얼마의 시간후에 전류값이 안정되는지 눈으로 확인하면 좋다. 이시간은 모터의 특성과 부하의 특성에 따라 변화할수 있으니까

 

그리고 열동계전기와 eocr이 다른점은 기계식과 전자식이라는 점이 다르지요


EOCR은 보통 기동지연 시간과 과전류 차단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 설정을 할 수가 있는 Type

 

이 많습니다. 열동계전기에 비해 오작동이 거의 없고 모터를 확실히 보호하려면 가격이 좀 비싸더

 

라도 EOCR 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기동지연 시간은 모터용량에 맞게 초를 설정하고 과전류 차단시

 

간은 보통 0~1초 사이를 많이들 사용합니다. 2~3초를 설정했을때 용량이 작은 모터들은 자주 소손

 

되는 사례가 있습니다

 

 

실례로 보면

 

EOCR에 보면 중간에 있는 LOAD 부하전류 설정하는 방법은 어떻게 할까

 

일단  EOCR은  on-TIME, D-TIME, LOAD (A) 이런게 설정하는게 3가지가 있고

 

모터에 흐르는 전류가 약 100A 라면, on-TIME, D-TIME, LOAD(A) 이 세가지 값을 얼마로 설정해야 할까?

 

 부하전류가 100A 라면
1. 변류기( CT 150/5 ) 를 사용했다고 가정하면 CT 2차 전류는 3 A 입니다.
2. 따라서 EOCR LOAD 값은 3 A 에 설정 하시면 됩니다.
3. on-TIME 은 MOTOR 기동에서 정상운전까지의 시간입니다.( 기동시에만 적용되는 시간 )
즉, 송풍기 같은 경우는 기동 시간이 길기 때문에 길게 설정해야 됩니다.
4. D-TIME 은 운전중 과부하 발생시 지속시간입니다.
즉 D-TIME 후에 트립된다는 것이지요
 

'전기 관련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의 기초  (0) 2010.02.25
TR 판별법  (0) 2010.02.25
차단기  (0) 2010.02.25
콘덴서의 종류  (0) 2010.02.25
EOCR의 종류  (0) 201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