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관련 상식

콘덴서의 종류

성공열매준비하기 2010. 2. 25. 12:30

콘덴서의 종류

 

전해콘덴서(electrolytic capacitor)

전해액에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의 전극을 넣어서 전기 분해하면 표면에 절연성의 유전 피막이 생긴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든 콘덴서를 전해 콘덴서라고 하며 소형 대용량의 것을 쉽게 만들 수 있으나 고주파 손실이 크므로
주로 저주파 또는 상용 주파 회로에 사용된다.
음극, 양극 모두 피막을 갖게 한 것을 교류용 전해 콘덴서라고 하여 단상 유도 전동기의 시동요에 사용된다.

진상콘덴서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전단 2차측 및 전동기와 병렬로 시설하는 콘덴서를 말한다.

오일콘덴서(oil condenser)

플라스틱 콘덴서에서 필름을 겹쳐 감은 틈이 절연 내력 저하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절연유를 함침시킨 것.

유입 콘덴서(oil condenser)

종이 콘덴서의 내압을 높이기 위하여 절연유를 함침시킨 콘덴서, 고압 회로 등에 사용된다.

소결형전해콘덴서(sintered electrolytic condenser)

전해 콘덴서를 만드는 데 양극 금속을 박판형(알루미늄의 경우)이 아니고 분말 소결체(탄탈)를 사용하여 실효 표면적을 크게 증가한 것. 그 표면을 산화하여 유전체로 함으로 소형이고 대용량의 것이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는 전해액을 쓰지 않는 건식 전해 콘덴서로 한다.

스택형마이카콘덴서(stacked mica condenser)

마이카(운모)를 유전체로 하여 그 표면에 금속 전극을 증착시킨 것을 겹쳐 쌓은 구조의 콘덴서.

시그널 콘덴서(signaling condenser)

해저 전신 회선의 수단에 있어서 전송된 해저선에 의한 충전 전류를
콘덴서로 미분하고 펄스파로써 통신 속도를 높이거나 또는 파형을
성형하기 위하여 삽입하는 콘덴서를 지칭한다.

실버드마이카콘덴서(silvered mica condenser)

마이카(운모)를 유전채로 사용한 콘덴서로, 마이카 양면에 금속을 증착하여 전극으로 한 구조의 것. 보통, 마이카 콘덴서는 이것이다.

압축 공기 콘덴서(compressed-air condenser)

콘덴서의 유전체로서 공기를 3~8기압 정도로 압축시킨 것을 사용하
면 내전압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압축 질소 콘덴서(compressed-nitrogen condenser)

압축 질소를 봉해 넣은 콘덴서. 내전압이 높아진다.

양면증착콘덴서(two-sided metalized condenser)

MP콘덴서의 일종으로, 전극용 금속을 필름의 양면에 증착하여 만든 것. 단면 증착의 것보다 성능이 좋다.

자기 콘덴서(ceramic condenser)

광물질의 연소물을 유전체로 한 콘덴서. 예를 들면 산화 티탄 또는 티탄산 바륨의 양면에 금속체를 구어 붙여 콘덴서로서 사용한다. 고주파 회로 또는 고압 회로에 사용된다.

전력용콘덴서(electric power condencer)

송배전계통의 부하역률을 개선하여 송전 손실의 저감이나 계통전압의 저하를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콘덴서. 직렬리액터의 용량은 콘덴서의 5-6%이며, 방전코일은 콘덴서를 회로에서 차단한 다음 신속히 그 잔류 전하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이콘덴서(paper condenser)

특별히 만든 얇은 종이와 여기에 절연용의 파라핀 등을 함침하여 유전체로서 만들어진 콘덴서. 종이 콘덴서는 주로 저주파 회로에 사용된다.

플라스틱콘덴서(plastic condenser)

유전체로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한 콘덴서. 폴리스티롤(고주파 특성이 좋다), 마일러나 테플론(사용 온도가 높다),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극은 증착한 것을 사용한다.

표준콘덴서(standard condenser)

측정 등에 사용하기 위해 유전손이 적고, 정전 용량의 값이 전압의 크기나 주파수에 의해 변화하지 않으며, 높은 내압을 갖도록 만든 콘덴서. 공기 콘덴서나 마이카 콘덴서가 사용된다. 용량을 다이얼형 스위치로 전환하는 가변형도 있다

트리머 콘덴서(trimmer condenser)

가변 콘덴서등에 붙어 있는 조정용 미소 가변 콘덴서. 정전용량의 세밀 조정용이며 반고정인 것. 조정 후 고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수우퍼 헤데로다인 수신기의 트래킹 조정에도 쓰인다.


평활콘덴서(smoothing condenser)

평활 회로(전원의 리플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하는 콘덴서. 대용량의 전해 콘덴서를 사용한다.

패딩콘덴서(padding condenser)

수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3점 조정을 할 때 국부 발진측 바리콘에 직렬로 삽입하는 반고정 콘덴서. 이로써 연결 바리콘을 사용한 경우라도 바리콘의 용량비를 동조측의 것보다 작게 할 수 있으므로 3점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보통은 반고정식 마이카 콘덴서가 흔히 쓰이나 고정 콘덴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탄탈콘덴서(tantalum electrolytic condenser)

양극 금속으로서 탄탈을 사용한 전해 콘덴서. 일반적으로 소결형의 것이 사용된다.

트렌치콘덴서(trench capacitor)

대용량의 다이내믹 RAM에서 사용되는 콘덴서 구조로, 디바이스의 고밀도화를 도모하기 위해 실리콘 기판 내에 깊은 홈을 파고 그 양 측벽 사이의 정전 용량을 이용하도록 한 것. 소자 위에 콘덴서 구조를 쌓아 올리는 스택 콘덴서(stacked capacitor)에 의해서도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좁은 부지 내에 거주 공간을 확보하려면 고층화하든가 지하 이용을 도모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트렌치 콘덴서는 후자의 경우에 해당한다.

호출음 콘덴서(ringing-back condenser)

공전식 및 자동식 교환기에서 접속이 끝나고 피호출자에게 호출신호를 보내고 있을 때 이것을 발호자에게 알리기 위해 호출신호의 일부를 분류해서 발호자에게 보내는 호출음 송출회로에 사용되는 콘덴서.

가변콘덴서( variable condenser)

콘덴서의 용량을 바꿀 수 있게 한 것 축의 회전으로 극판의 대향 면적이나 거리를 가감하는 형이 많으나 여러 개의 콘덴서를 전환하든지 결합을 바꾸어도 된다. 바리콘

결합콘덴서( coupling condenser )

결합용 콘덴서. 또 직류분을 저지하고 교류분만을 다음 단 증폭기나 안테나에 공급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고압진상콘덴서

고압진상콘덴서 : 고압계통에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전단 2차측 및 전동기와 병렬로 시설하는 진상콘덴서를 말한다.

세라믹콘덴서(ceramic capacitor)

스테아타이트(steatite) 또는 티탄산바륨과 같은 자기를 유전체로 사용한 커패시터이며, 조성비를 바꿈으로써 커패시턴스의 온도 계수도 변화한다. 세라믹판의 상하 또는 중공의 통 내외의 양면에 은전극을 열처리하여 단자를 끌어낸다. 소자의 전 표면을 절연 도료로 보호한다.

불꽃소거콘덴서(spark capacitor)

한 쌍의 접점간, 혹은 인덕턴스 양단에 접속하는 콘덴서로, 이들 접점간에 생기는 불꽃을 소거하기 위한 것.

비선형콘덴서(non-linear capacitor)

평균 충전 특성 또는 최대 충전 특성이 선형이 아닌 콘덴서 또는 바이어스 전압으로 변화하는 가역성의 용량을 가진 콘덴서.


반도체콘덴서(semiconductor condenser)

반도체 표면에 만든 절연층을 유전체로 이용하는 콘덴서의 총칭. 예를 들면 경계층 자기 콘덴서와 같은 것. carrier-current coupling capacitor / 반송파 결합(搬送波 結合) 콘덴서 ①반송파 결합 콘덴서, 동조 장치, 반송파 송수신 장치를 결합시키는 케이블. ②전력선에 반송파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콘덴서의 장치의 집합.

고정콘덴서( fixed condenser)

정전 용량의 값을 바꿀 수 없는 콘덴서.

공기콘덴서( air condenser)

공기를 유전체로한 콘덴서 . 이른바 바리콘도 대부분이 이 일종이다


동조 콘덴서(tuning con-denser)

보통 인덕턴스와 콘덴서를 조합하여 동조 회로를 만드는데 이 때의 콘덴서를 말한다. 이 콘덴서는 고정인 것과 가변인 것이 있다.


마이카콘덴서(mica condenser)

마이크(운모)를 유전체로서 사용한 콘덴서. 유전손이 작고 정전 용량의 온도 변화가 작다는 등 뛰어난 점이 많다. 스택형과 실버드형이 있는데, 최근의 전자 기기에는 마이카 조각의 양면에 은을 구워 붙여 전극으로 하고 그것을 적층하여 성형한 실버드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박막콘덴서(thin film condenser)

규소의 산화물(SiO₂)을 금속 표면에 증착한 것이나 탄탈을 증착한 다음 그 표면을 산화한 것 등을 유전체로 하고, 다시 금속 증착에 의해 상부 전극을 붙인 콘덴서를 말한다. 이 밖에 폴리스티롤 등의 플라스틱 박막을 사용한 것도 있다. 단독 부품으로서, 혹은 박막 회로에서 사용된다.

'전기 관련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의 기초  (0) 2010.02.25
TR 판별법  (0) 2010.02.25
차단기  (0) 2010.02.25
EOCR의 종류  (0) 2010.02.25
EOCR SETTING 방법  (0) 201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