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전동기의 구조 : 전동기는 도선이 자기장 내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얻는 장치이다. 전동기는 다음 그림과 같이 고정되어 있는 영구 자석의 N극과 S극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전자석(전기자)과 180°회전할 수 있는 전자석에 감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주는 정류자와 브러시로 되어 있다.

|
(2) |
전동기의 회전 원리 |
① |
그림 ㈎에서 전기자라고 부르는 전자석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의 N극은 자석의 N극에 의하여 척력이 S극 쪽으로 돌아간다. |
② |
그림 ㈏에서 전자석의 N극이 자석의 S극에 가까이 가면 정류자의 접속 부분이 바뀌므로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된다. 그러면, 전자석의 N극이 S극으로 바뀌어서 자석의 S극으로 밀리므로 또다시 같은 방향으로 돌게 된다. 이와 같이 직류 전류가 흐를 때 전기자에 흐르는 전류가 정류자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변하면서 전기자도 계속 회전한다.
 |
(3) |
전동기의 이용 : 건전지에 의해 돌아가는 간단한 전동기는 장난감 자동차에 많이 쓰인다. 또 전동기는 전철, 고속 전철, 항공기, 인공 위성 등에 이용하기도 하고, 회전 수를 일정하게 하여 시계, 녹음기 등에 이용하기도 한다. |
(1) |
전류계의 구조 : 전류계는 다음 그림과 같이 영구 자석의 두 극 사이의 원통에 코일을 감은 가동 코일이 자기장 속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2) |
전류계의 원리 : 가동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은 자석의 자기장 속에서 힘을 받아 바늘과 함께 오른쪽으로 회전한다. 이 때에 가동 코일 위에 붙어 있는 나선형 용수철의 탄력성 때문에 코일은 계속 회전하지 못하고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는 각도 만큼만 회전하게 된다.
|
(3) |
분류기 : 전류계는 측정하고자 하는 회로의 전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내부 저항이 아주 작게 되어 있다. 전류계로 더 큰 전류를 측정하고자 할 때는 전류계와 병렬로 연결된 분류기를 사용하는데, (-)단자가 여러 개인 전류계 속에는 이러한 분류기가 들어 있다. |
(1) |
전압계의 구조 : 전압계의 구조는 전류계의 구조와 같으나, 가동 코일에 큰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큰 저항을 직렬로 연결한 것은 측정하고자 하는 회로에 흘러야 할 전류가 전압계로 많이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
(2) |
전압계의 원리 : 전압계의 가동 코일도 전류의 세기에 따라 회전 각도가 커진다. 그런데 전압계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전압에 비례하므로, 전류의 세기에 따라 바늘이 가리키는 눈금을 직접 전압의 단위인 V(볼트)로 나타내어 그 전압을 알 수 있다.
|
(3) |
배율기 : 전압계로 잴 수 있는 한도 이상의 전압을 측정하고자 할 때는 배율기를 전압계와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단자가 여러 개인 전압계 속에는 이러한 배율기가 들어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