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관련 상식

플로팅 시킨다는 말의 의미

성공열매준비하기 2010. 2. 25. 14:11

FLOATING의 사전적 의미는 떠있는 상태 라는 의미입니다.
아무것도 연결을 하지 않는 상태,또는 서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 를 말하죠.

예를 들어 PC와 어떤 센서를 연결하여 외부입력을 받아들이는데 PC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센서에 영향을 주어 제대로 측정을 하지 못하는 경우 PC와 센서를 전기적으로
서로 끊어버리고 광(포토커플러)등을 이용해 DATA를 전송시키게 만들때
PC와 센서를 전기적으로 플로팅된 상태라고 표현을 하죠.

 

 

MOSFET에서 Floating시킨다는게 뭐죠?
Gate에 Vcc를 주고 Drain에 Vcc를 주면 Tr.의 Source가 Floating되면서 Source 전압이 일정 Voltage Level로 상승한다거든요.왜그렇죠?
==FET는 TR과 달리 전압으로 제어해서 컨트롤합니다.

그래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라고들 하기도 합니다.

즉, TR은 바이어스전압을 베이스와 이미터에 걸어주면 컬렉터와 이미터에 전류를 흘릴수가 있죠.

그런 반면 FET는 게이트에 전압을 걸어주면 드레인과 소스 사이에에 공핍층이 증가하여 드레인에서 소스쪽으로 전류를 제한합니다. 한마디로 저항값이 높아지면서 전류가 흐르지 못한다고 쉽게 생각하셔도 될겁니다.

그럼 소스는 전류가 흘르지 못하면서 플로팅이 되는것을 말하는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플로팅은 회로에 어떠한것도 연결되어있지 않고, (전압이)뜬 상태를 말하는데, 여기서도 플로팅이라고 표현하는건 개인적으로 처음 들어봤습니다.

그런데, 소스에 전압이 일정양으로 상승하는게 아니라 드레인에 연결되어있는 전원전압까지 드레인과 소스에 걸릴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적으로  power supply의 output들이 다른 voltage에 Floating 되어 있다는 의미가 쉽게 무슨 뜻이죠?  잘 모르겠는데 쉬운 말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예를 들어,  (-)1000V output이 나오는 power supply card에 대해 (+)100V 와 (-)300V output을 낼수 있는 power supply card들이 각각floating 되어 있다라고 하면 floating 된 card들의 output을 측정하면 실제 얼마가 나온다는 건가요?
전위차로는 얼마가 되죠?
-1000V power supply card는 실제 ground를 기준으로 한 값이라는 뜻도 포함된 건가요?

그리고 floating 되는 supply card와 기준되는 card와의 전기적 연결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쉽게 (+), (-)의 단자 끼리의 연결로 설명이 가능하면 이해가 좀더 잘 될것 같습니다.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전압이 플로팅되어 있다는것은 전원장치의 +-간의 전압은
설정치대로 나오지만 다른 전원출력과는 전혀 연결이 되어있지않다는 뜻입니다.
즉 구름처럼 각각 떠있다는 뜻이죠..
이 전원의 출력들의 단자를 기준점(접지)에어떤 단자를 연결하는가에 따라 부전원도(+단자를 연결) 될수 있고 양전원(-단자를 연결)도 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V output이 나오는 power supply card에 대해 (+)100V 와 (-)300V output을 낼수 있는 power supply card들이 각각floating 되어 있다라고 하면 floating 된 card들의 output을 측정하면 실제 얼마가 나온다는 건가요?
전위차로는 얼마가 되죠?
-> 각각 재면 1000v,100v,300v가 나오지만 서로 다른 카드끼리재면 전압이 나오지 않습니다. 뭐 유도된 전압이나올수도 있지만 전압이라 볼수 없습니다.
각카드의 출력단자중에서 어느 단자를 기준점(접지)에 연결하느냐에 따라 전압이 나타납니다.
위의경우에 -1000v는 +가 접지로 연결,100v는 -가 접지에,-300v는 +가 접지로 연결된 경우입니다.

-1000V power supply card는 실제 ground를 기준으로 한 값이라는 뜻도 포함된 건가요?
->전원 출력중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경우이며 접지를기준으로 -1000v가 되는것입니다.

그리고 floating 되는 supply card와 기준되는 card와의 전기적 연결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1,2차가 절연된SMPS트랜스나 일반절연트랜스등으로 접지가 분리되어 전압이 공급되게 됩니다



최근 러시아 항공기가 낙뢰에 맞아 추락했다는 뉴스를 접하면서, 비행체 내부에 쓰이는 28V전원의 리턴선을 접지처리 하는게 안전한가, 아니면 floating하는게 안전한가를 알고자 합니다.  제가 얘기하는 비행체의 전기적 구성은 리턴선이 확보되어져 있으면서,  샤시를 통한 회로구성은 없습니다  (하기 그림 참조).

 

일본에서 발행된 접지책에서는 계통(전기가 흐르는 선로)은 floating을 원칙으로 하는걸로 쓰여져 있는 반면, 미국의 표준서에서는 계통의 이상 전위상승을 억제한다는 구실로 리턴계통의 접지처리를 하는걸로 쓰여져 있습니다.

 

참고로 계통의 접지시 노이즈 bypass용 Y-cap이나 Feed-through Cap의 역할이 무의미해지는걸로 보여집니다.

 

 


 

 
 
1.절연이나 내압개념에서는 floating이 유리하다고 생각하구요..
2.회로의 안정동작 혹은 사람의 안전을 위해선 접지처리를 하여 대지와 동전위를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비행기라면 접지는 않되는 얘기구요 비행기의 동체와의 동전위를 만드는 결과이므로 어떻게 해석을 해야할지...
그런데 낙뢰 라는것이 대전된 구름이 비행기동체와의 정전유도를 유발하여 방전하는것 이므로 floating하는것이 회로에는 영향이 적지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비행기에도 실제적으로 양편 날개쪽에 여러개의 피뢰침이 달려있습니다
님이올리신 회로의 Y-cap이나 Feed-through Cap의 경우는 직렬연결하여 중간탭을
접지하므로서 평형을 유지하면서 교류적인 동전위을 유지하기 위함인데
직접 접지한다면 Y-cap의 의미가 무색해 지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전기 관련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압, 전류  (0) 2010.02.25
역률  (0) 2010.02.25
다이오드  (0) 2010.02.25
전류의 작용  (0) 2010.02.25
저항  (0) 2010.02.25